티스토리 뷰
카메라가 이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속도에 맞지 않는 노출시간을 사용하는 경우 장노출로 인해 모션블러가 발생합니다
머신비전에서는 완벽한 Frozen Image를 취득해야하기 때문에 Flying 설비에는 반드시 카메라의 짧은 노출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최소 노출시간은 1pixel 분해능 / 이동속도 이며, 이 시간은 1 pixel이 이동하는 시간입니다.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 카메라 resolution 1280x1024, FOV 128mm, 이동속도 100mm/s 일때, 최대로 쓸 수 있는 Exposure Time은?
Hint. 1픽셀동안 이동하는 시간이 최대 Exposure Time
1280pixel / 128mm = 10pixel/mm
100mm/s 이동시 1초 후 1000pixel 이동, 즉 10pixel은 1000pixel/s로 이동
그렇다면 1pixel이 이동하는 시간은? ==> 1/1000s 즉 1ms가 바로 최소의 Exposure time 입니다
좀 더 간단히 수식화 해보겠습니다
Exposure time(s) = FOV(mm) / Resolution(pixel) / speed(mm/s) |
이동속도 또한 위 수식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겠습니다
계산해보면 아시겠지만 생각보다 Exposure Time이 매우 짧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광량확보가 중요하며 Strobe 방식의 Lighting 기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약 광량을 감소시키는 요소(렌즈 조리개, 타겟이 빛을 흡수하는 재질 등)가 있다면 반드시 해당 조건에서 광량확보가 가능한지 테스트 후에 선정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Study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시회장에서 봤던 카메라거치 클램프 (0) | 2021.02.16 |
---|---|
매트록스 DCF설정 타이머 사용하여 카메라와 조명간의 딜레이 싱크 맞추기 (0) | 2021.02.16 |
GigE 카메라 15대, 스위칭 허브로 연결하기 (0) | 2021.02.16 |
히로세 6핀 커넥터 핀맵 순서 (0) | 2021.02.16 |
C++ 8bit 비트맵 이미지 불러오기 저장하기 (0) | 2021.02.15 |
댓글